본문 바로가기
재테크/기타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조건, 혜택 등

by Lina♥ 2025. 2. 6.
728x90
반응형

오늘은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위한 필수 금융상품인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 계좌는 정부 지원과 저축을 결합한 매우 유용한 제도인데요. 가입 조건, 혜택, 신청 방법 등을 꼼꼼히 정리했으니 끝까지 읽어보세요!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알아보기

사진 출처: 서민금융진흥원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정부가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도입한 지원형 저축 상품입니다. 가입자가 매월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추가 지원금을 제공하여 장기적으로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가입 대상: 만 19세~34세 청년 (병역이행자는 최대 39세까지 가능)

소득 조건: 연 소득 6천만 원 이하, 가구 소득 중위 250% 이하

가입 기간: 최대 5년

납입 한도: 월 최대 70만 원

정부 기여금: 최대 3.3만 원/월

비과세 혜택: 이자소득세 면제


청년도약계좌 혜택

이 계좌를 통해 청년들은 정부 지원과 이자 소득을 활용하여 더 큰 저축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정부 지원금: 소득 구간에 따라 매월 저축액에 비례하여 지원금을 추가 지급합니다.

🔹 비과세 혜택: 예금 이자소득세가 면제되어 더 높은 실수익 가능

🔹 부분 인출 가능: 가입 후 2년 이상 유지 시, 납입액의 최대 40%까지 인출 가능

🔹 장기 저축 유도: 5년 만기 시 안정적인 목돈 마련 가능

 

📢’25년 1월부터 청년도약계좌 기여금이 확대됩니다.

 

✅ ’25년 1월 납입분부터 청년도약계좌 기여금 지원 수준 확대 적용

- 기여금 월 최대 3만 3천 원까지 증가

→ 일반적금상품으로 환산한 수익효과 9.54%

- 3년만 가입을 유지시 비과세 및 기여금 일부(60% 수준) 지원

연 최대 7.64%의 수익효과 기대

 

✅ 2년 이상 가입 유지+800만원 이상 납입할 경우

 → 개인신용점수 가점 자동 부여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1. 온라인 신청 (비대면)

✅ 신청 가능 은행: 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농협은행 등

✅ 신청 절차:

  1. 은행 앱 또는 홈페이지 접속
  2. '청년도약계좌' 메뉴 선택
  3. 본인 인증 및 신청서 작성
  4. 소득 증빙 서류 업로드 후 신청 완료!

2. 오프라인 신청 (은행 방문)

✅ 신분증과 소득 증빙 서류 지참 후 가까운 은행 방문

✅ 상담 후 신청서 작성 및 계좌 개설 진행

📌 신청 시 주의사항

✔ 신청 기간은 매월 초 진행 (정확한 일정은 은행 홈페이지 참고)

✔ 본인의 소득 조건에 따라 지원금이 다를 수 있으니 사전 확인 필수

✔ 중도 해지 시 정부 지원금을 받을 수 없으므로 신중한 가입 필요


마무리하며

청년도약계좌는 정부 지원을 활용해 장기적인 자산을 형성할 수 있는 이율이 높은 저축 상품입니다. 꾸준한 저축과 정부의 지원을 통해 탄탄한 재정적 기반을 마련해 보세요!

 

📢 더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각 은행 홈페이지 또는 금융위원회 공식 자료를 참고하세요.

 

관련 출처: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