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2025년 3월 19일부터 20일까지 진행된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연방준비제도(Fed)는 주요 경제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FOMC 회의 결과와 그에 따른 경제 전망을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기준금리 동결 결정
연준은 이번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4.25~4.50%로 동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시장의 예상과 부합하는 결정으로, 연준은 경제 전망의 불확실성을 이유로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출처: chris-liverani-dBI_My696Rk-unsplash
2. 경제 전망 수정
연준은 이번 회의에서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1%에서 1.7%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또한, 인플레이션 전망치는 2.5%에서 2.7%로 상향했으며, 실업률 전망치도 4.3%에서 4.4%로 높였습니다. 이는 관세 정책 등으로 인한 경제 불확실성 증가를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3. 양적 긴축(QT) 속도 조절
연준은 4월부터 양적 긴축(QT) 프로그램의 속도를 늦추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대차대조표 축소 속도를 조절하여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4. 시장 반응
이번 FOMC 회의 결과 발표 이후, 미국 주요 주가지수인 S&P 500, 다우존스, 나스닥 지수가 모두 상승 마감했습니다. 이는 연준의 신중한 정책 기조가 투자 심리를 개선시킨 것으로 보입니다.
5. 전문가 의견
해외 투자은행(IB)들은 이번 FOMC 회의 결과에 대해 다소 비둘기파적이라는 평가를 내놓고 있습니다. 이는 연준이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낮추고, 점도표 상 연내 정책금리 인하 전망을 2회로 유지한 점을 반영한 것입니다. 다만, 일부 IB들은 인플레이션 상승 전망을 이유로 인하 폭 축소에 대한 경계감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결론
이번 3월 FOMC 회의에서 연준은 금리 동결과 함께 경제 전망을 수정하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습니다. 이는 현재의 경제 불확실성을 반영한 결정으로, 향후 연준의 정책 방향과 경제 지표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합니다.
4월 2일 관세 적용일까지 시장은 모두 관망세로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출처:
* 이글이 유용하셨다면 공감과 구독 부탁드립니다.
'재테크 > 미국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관세 정책 이슈 알아보기 - 25년 4월 2일 관세 조치 (0) | 2025.03.28 |
---|---|
PPI란? 생산자물가지수(PPI)의 개념과 경제적 의미, 25년 2월 미국 PPI (4) | 2025.03.15 |
미국 고용지표 정의, 분석, 최근 수치 (3) | 2025.03.13 |
댓글